다름이 아니라 요즘 각종 과일을 생산하는 농가에서 판매박스를 규격화 해서 소포장 고소득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독 사과만 공동판매장 에서 20키로 단위로 포장을 합니다 상인들은 저가에 경매를 받아 포장박스 갈아치기 해서 손도 대지않고 박스당 2~4만원의 차익을 챙겨 가는 실정 입니다 그러한 현상은 도시에 있는 마트에 가보면 10키로 포장 가격이 대형 공동판매장 20키로컨티박스 포장 가격보다 비싸게 팔리는게 현 실정입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업인들 에게 돌아가고 있으며 농사를 지어도 약값조차 안나온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유통과정에서 소량 경량 화를 법적으로 규격화 하여 중간상인들 의 박스 갈라치기 같은 짖은 막아야 된다고 생각하며 규격화하여 정착된다면 농민들의 소득증대도 기대될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런걸 실행하기는 힘들고 연합회에서 이런일을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북의성 에서 소규모 사과농업을 하고있는 농업인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요즘 각종 과일을 생산하는 농가에서 판매박스를 규격화 해서 소포장 고소득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독 사과만 공동판매장 에서 20키로 단위로 포장을 합니다 상인들은 저가에 경매를 받아 포장박스 갈아치기 해서 손도 대지않고 박스당 2~4만원의 차익을 챙겨 가는 실정 입니다 그러한 현상은 도시에 있는 마트에 가보면 10키로 포장 가격이 대형 공동판매장 20키로컨티박스 포장 가격보다 비싸게 팔리는게 현 실정입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업인들 에게 돌아가고 있으며 농사를 지어도 약값조차 안나온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유통과정에서 소량 경량 화를 법적으로 규격화 하여 중간상인들 의 박스 갈라치기 같은 짖은 막아야 된다고 생각하며 규격화하여 정착된다면 농민들의 소득증대도 기대될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런걸 실행하기는 힘들고 연합회에서 이런일을 하였으면 좋겠습니다